정혜 그리고 희수

일상 2009. 4. 30. 16:33

건조한 표정과 굳게 잠긴 현관문의 자물쇠 세 개.

유심히 보지 않았으면 그녀가 한번 결혼했다는 사실 조차도 지나칠뻔했다.그런면에서 영화는 관조적이다 못해 조금은 까탈스럽다.

"난 옆에서 나는 담배 연기가 이상하게 좋더라구" 나 역시 최근까지는 그랬었다. 특히나 어딘가에서 피우는 도라지 담배는 연하고 오래가서 좋아했었다.

어린 시절의 그 일을 알기 전까지 난, 어렴풋이 깊은 상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란 걸 예상은 했지만, 어설프게 남자에게

"저.. 오늘 저녁, 저희 집에 오셔서.. 같이 식사하지 않을래요"
"그냥.. 저.. 집에 고양이가 있는데, 한번 보여 드리고 싶어서요"

저 정도로 말도 못할 정도로 서투른가,그러다 그럴법하다 싶다.그 정도로 단단한 껍질이 한순간에 깨질 수는 없다,오롯이 그만큼의 시간을 들여야만 할 일이다.

나른할 정도의 한가한 진행이었다가 저 부분은 예고도 없이 불쑥 나온 느낌이었다,마치 뭔가 우연에 의해서 삶이 극적으로 변하는 것 같았다.이 부분에서 난 약간 멈칫했다.

장면이 바껴,소박한 식사를 준비하고 있는 그녀, 조그만 몸짓과 손짓.그리고 초대했던 그 사람은 오지 않고, 그다지 밝지 않는 실내에서 익숙하게 혼자 식사를 한다.라면과 김밥이 아닌, 손수 차린 식사로.그녀에겐 극히 이례적으로 용기를 내서 건넨 말이었겠지만,결과적으로 외면받았다.

우연히 고양이로 시작한 그녀의 시도가,조금씩 힘에 부치게 커져버린듯이 느낀 건가,다시 그 자리에서 선 그녀.

"미안해"

짧은 말,그리고 전에부터 그랬듯이 그녀는 자신에게 돌아오는 고통일지,일상일지 모를 그런 일들을 자신과는 다른 부분으로 밀어버린 듯한 인상이다.그녀의 생활방식이자 이제까지 살아오는데 익힌 요령일 것이다.

그러다 문득,무언가에 복받쳤는지 과거를 찾아가는 발걸음,그리고 그녀의 오열을 보면서 '여리고도 안쓰럽구나'

지극히 사실적이고 섬세한 작품이다.다른 영화처럼 시시콜콜한 섬세함이 아닌,다분히 관조적인 섬세함이다.어떤 의미에서는 중립적이라고 까지 보인다.

끝 부분의 머뭇거리는 그녀의 얼굴을 롱테이크로 잡아내는 그 장면이 퍽이나 기억에 남았다



"돈 갚아"

이 짧은 말처럼 많을 일들을 상상해주는 말도 드물 것이다.특히나 그 대화가 성인남녀가, 주변 사람들은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로 말할 수 있다는 그 상황이라면 더 그렇다.

아주 짙은 스모키 화장,약간은 눈 마주치기 거북한 경직된 인상의 그녀.

보는 내내 자연광을 많이 썼다는 게 무척 마음에 든다,덕분에 이른 아침 그 공기마저도 자연스레 떠올리게 한다,작위적인 느낌이 없어서 그런지 내겐 시작부터 좋은 느낌이다.이감독의 개성이라고 부를만하다.

멍한 눈으로 지하철 창밖을 바라보는 희수에게 병운은 뜬금없이 효도르 이야기를 건넨다.갑자기 흐르는 눈물.알수 있다, 살다 보면 그렇게 뜻 없이 눈물이 흐를 때도 있는 법이다.

그날 저녁,비탈길을 따라 운전하는 그녀의 얼굴이 조금은 밝아졌다.약간 피곤한 얼굴에 엷은 미소.나 역시 그 장면으로 만족한다.

이런 밋밋하고도 여백이 많은 작품이 한국영화계에서 흥행하긴 힘들 것 같다.실제로 신통치 않은 수입이었다.하지만,내겐 취향에 맞는 영화를 하나 더 발견해서 아주 만족했던 시간이었다.

Astrud Gilberto - The Girl from Ipanema




정혜의 엄마와 멎진하루의 한여사는 동일한 배우이다(김혜옥 분).거기에서 문득,

그리고 십년 후,서른여덟이 된 정혜,아들과 유치원에서 만들었다는 장식을 단,하나뿐인 앙징맞은 현관문 자물쇠를 열고 나선다.어느새 유치원가는것을 좋아라하는 승준의 작은손을 잡고 유치원버스를 기다린다.문자 메시지 하나, "누구야 엄마?" 하는 아들의 물음에 머뭇거리는 찰라, 유치원 버스가 도착한다.배꼽인사를 하고 난 아들이 어느새 또래 아이들과 떠들고 있다.

"한양대 부속 병원 장례식장,5월 5일 발인"
희수

정혜와 희수는 연년생 자매이다.엄마의 죽음 이라는 가족사가 아니면 연락도 하지 않는 사이다.그렇다고 사이가 나쁜것도 아니다.특별히 살가운 것도 없지만.

여전히 촌스러울 만치 소박한 색상과 치마길이, 그리고 낡아버린 신발의 정혜.도전적이고 도회적인 단발머리의 희수.

3일장이 치뤄지는 그 장소에 그녀들의 인연들이 하나 둘씩 모여든다.

이제 5살난 아들이 하나있는 정혜, 이모란 호칭에 기묘한 어색함으로 어떤 표정을 지어야할지 모르는 희수.공통점이라곤 까만 상복을 입고 있다는 그 사실 하나뿐이다.

...

정혜와 희수,그녀들이 30대후반이 되었을때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과연 그만큼의 시간이 지나고 결혼과,아이가 생기면 삶이 치유 혹은 회복될까 아니, 인간에 대한 믿음과 애정이 되살아날까.

영화를 보면서 자연스레 알게된 건, 감독은 주인공의 혹은 개인의 관계를 주요하게 보여준다기보다는, 사람간의 관계에 더 초점을 맞춘다는 사실이다.가끔씩 주요 인물들의 대사가 주변인의 대화나 소리들에 묻혀서 잘 안들리는데, 갑자기 감독의 시선이 이런거였구나, 라고 달리 보게 되었다.물론,다분히 내 자의적인 해석이다.

어쨋든, 정혜와 희수, 좋은 만남이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ke me up inside  (0) 2009.05.02
만족한 미소  (0) 2009.05.02
‘사람세상’ 홈페이지를 닫아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0) 2009.04.24
古典  (0) 2009.04.22
야수들의 밤2  (0) 2009.04.19
Posted by iamyhs
,